E5 한국에서 가장 많이 쓰는 말 The most used words in Korea

*Script 수연 : 안녕하세요, 안녕라디오입니다. 저는 수연쌤입니다. 지연: 저는 지연쌤입니다. 저희는 런던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어요. 수연: 이 라디오는 한국 관련 주제를 다루려고 해요. 지연: 한국어를 배우거나 한국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라디오입니다. 수연: 오늘의 주제는 한국에서 가장 많이 쓰는 말입니다. 어 사실 저희가 런던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잖아요? 네 제 주변 친구들도 다 제가 한국어 선생님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데. 어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한 친구가 한 외국인 친구에게 이제 홍콩친구에게 한국어를 가르친다고 해요. 한국에서는 말을 시작할때마다 “아니 근데..” or “킹 받아” 라는 말을 쓴다면 정말 자연스러울 것이다. 정말 한국인 처럼 말할 수 있다. 라고 말을 하면서 어 그 얘기를 들려줬는데요. 저도 생각을 해보니까 “아니 근데”, “아니 근데 있잖아” 이런 말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더라고요. 그리고 실제로 하고 싶은 말 전에 아니 근데를 붙인다면 진짜 네이티브 처럼 네이티브 코리안 처럼 네 느껴질 것 같아요. 이걸 듣고 너무 재미있어서 오늘의 라디오 주제가 한국에서 가장 많이 쓰는 말을 다루면 좋을 것 같아서 가지고 왔습니다. 그래서 지연쌤 가장 많이 쓰는 한국 단어가 뭐예요? 지연: 어 저의 경우에는 아 진짜 이거 같아요. 아 진짜? 네 모르겠어요. 제가 궁금한게 많은 지 항상 누가 무슨 말을 했을 대때 “아 진짜?” 이렇게 대답을 하곤해요. 수연: 어 근데 저도 진짜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지연: 그죠? 수연: 이것 처럼 진짜 많이 써요 처럼 진짜 라는 말이 really? 진짜? 맞아? 약간 이런말 많이 쓰는 것 같아요. 그리고 또  다른 말 있어요? 지연: 또 저는 “내말이” 이것도 많이 쓰는 거 같아요. 수연: 내말이. 지연: 내말이. 수연:내말이. 어떤 상황에서 쓰죠? 지연: 음 누군가가 무슨 이야기를 했는데 저도 그 생각, 그 말과 똑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을 때 “내 말이” that’s what I want. That’s what I mean. 수연: 네, That’s what I mean. 내 말이 저도 약간 동의 할때 자주 사용하는 것 같아요. 아 내말이 그거야 지연: 맞아요 맞아요. 수연: 그리고 뭐 또 다른 언어 있으세요? 지연: 음 “솔직히” 도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수연:음 솔직히는 무슨 뜻이죠? 지연: Honestly? 네, 솔직히 영어로도 많이 쓸 것 같은데요. 수연: 네 Honestly. 네 그쵸, 솔직히 말하면, 뭐 약간 저도 그렇게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지연: 그죠? 쌤은 또 어떤 말을 많이 쓰시나요? 수연: 음 저는 아 진짜처럼 아 그래? 지연: 똑같은 말이죠? 수연: 이것도 똑같은 말이죠 결국에는. ah yeah? 아 그래? 약간 그런 말이구요. 또, 뭐 제가 인트로에서 제가 얘기했듯이 아니 근데. 아니 근데 있잖아 뭔가 약간 이런식으로 자주 사용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또 이거는 조금 어린 단어일수도 있어요. 그래서 뭔가 조금 젊은 세대들이 쓰는 말이긴 한데 뭐 인정 이라는 말이..I admit it 약간 이런 느낌인데 인정 약간 인정한다 내가 너 인정한다. 약간 이럴때 인정 이렇게 얘기하고요. 아니면 인정띠? 약간 킹 받는 단어이죠? 너무.. 인터넷 용어. 지연: 너무 어린 친구들이 쓸 것 같은데요. 수연: 근데 또 제 동생이 20대 초반이기 때문에 동생한테 이제 놀릴때, “인정띠?”하고 얘기 하는데요. 동생이 아주 킹받아 합니다. So 여기서 “킹받아” 킹 받는 다는 말이 a bit funny and annoyed 킹받아. 지연: 어 제가 어린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눈지 조금 오래 지났던 거 같아서, 이런 얘기를 듣는 거는, 보통 TV 나 유투브로 많이 봤던 거 같은데요. 해서 제가 항상 생각을 했어요. 진짜 어린 친구들은 이말을 쓸까? 수연: 근데 제 주변에서는 20대 중 초반 친구들은 킹받는다는 말은 진짜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지연: 음 그렇군요. 수연: 뭐 사실 저희는 한국어 선생님이기 때문에, 언어를 조금 조심해야하지만, 뭐 온라인 매체에서 많이 재밌는거 보는 친구들은 킹받아 킹받쥬? 이런말 많이 사용합니다. 지연: 어쩔티비는요? 어쩔티비. 어우 진짜 쓰나요? 수연: 아 육성으로, 하 잘모르겠어요. 네, 근데 유투브에서는 많이 봤어요. 지연: 그죠 그죠 네. 수연: 어 근데 사실, 한국말 하면은 줄임말 그렇게 많이 사용하잖아요. 예를 들어서, 버카. 버스카드. 지연: 너무 오래된 말 아닌가요? 수연: 오래되긴했지만 아직쓰고 있다는 점. 네 어 선생님은 줄임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지연: 어 저도 가끔은 줄임말을 쓰는 편인데요. 예를 들어서 가장 많이 쓰는게 아아? 수연: 아아. 지연: 아이스 아메리카노 정도 인것 같아요. 근데 음 일상생활에서 친구한테는 가끔 쓰는데요. 어른들에게는 안쓰는 거 같아요. 아무래도 줄임말이 굉장히 예의바른 표현이라고는 생각이 들지 않아요. 수연: 그죠, 또 같은 표현을 줄여서 사용하는 거기 때문에 뭐 신세는 많이 이용을 하지만, 살짝은 약간 조금 아 왜 못알아듣게 얘기해 라고 생각할수도 있는.. 친절한 언어는 아니죠 사실. 지연: 그리고 우리 한국어는 반말 일수록, 조금은 캐주얼할수록 말이 짧아지잖아요. 그리고 조금더 격식을 차리고 예의바른 언어일수록 문장을 길게 하는 편이라서, 뭔가 줄임말이라는게 조금은 캐주얼한거 같아요. 수연: 저는 진짜 캐주얼한거 같아요. 진짜 캐주얼한 상황에서 많이 쓰니까. 왜냐하면, 뭐 회사 비지니스 상황. 부장님한테 “부장님, 아아 땡길까요?” 이렇게 얘기 안 하니까요. 네. 아이스 아메리카노 드실래요? 얘기를 하니까요. 그리고 이제 마지막으로, 가장 생각이 난게. 저희 사실 런던에 그 파리바게트라는 빵집이 한국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들어왔어요. 근데 한국에서도 굉장히 유명한 빵집인데, 이거를 “빠바”라고 부릅니다. 지연: And 그리고 하나더 유명한 빵집도 있잖아요. 여기에는 없지만 “뚜주”. 수연: 아. 지연: 뚜레주르. 수연: 뚜레주르. 지연:  양대산맥이에요. 한국에서는. 수연: 네 근데, 뚜레주르, 뚜주라고 불러요? 네. 저는 몰랐어요. 지연: 저는 불렀는데요? 수연: 어 선생님 신세대시네요. 네 저희이렇게, 한국 줄임말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봤는데요. 음 저는 재밌는 주제인 거 같아요. 지연: 네, 재밌었습니다. 수연: 네 알겠습니다. 저희의 라디오 이번 에피소드는 여기서 마무리 짓도록 할게요. 그러면 모두 안녕~

Om Podcasten

Welcome to the Korean Conversation podcast! Jiyeon and Suyeon, two Korean teachers, will guide you through engaging conversations about various aspects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Each episode covers a range of topics, from food and travel to current events and pop culture. Whether you're a beginner or an advanced learner, our podcast has something for everyone. Join us to improve your Korean language skills and learn more about Korean culture. Don't forget to subscribe and stay up-to-date on all our latest conversations.